코딩테스트

[백준] 스택 2 (JS)

여유로운 프론트엔드 개발자 2025. 4. 21. 21:07

문제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8278

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.

  1. 1 X: 정수 X를 스택에 넣는다. (1 ≤ X ≤ 100,000)
  2. 2: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. 없다면 -1을 대신 출력한다.
  3. 3: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4. 4: 스택이 비어있으면 1, 아니면 0을 출력한다.
  5. 5: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출력한다. 없다면 -1을 대신 출력한다.

입력

첫째 줄에 명령의 수 N이 주어진다. (1 ≤ N ≤ 1,000,000)

둘째 줄부터 N개 줄에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

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은 하나 이상 주어진다.

출력

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명령의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
풀이

1. push 명령에서 두 번째 인자를 처리하기 위해 input을 2차원 배열로 변환한다.

2. 두 번째 인자를 갖는 케이스와 그 외 케이스로 분기를 나눈다.

3. 명령에 맞게 output에 저장한다.

4. 반복문이 종료된 후 ouput을 출력한다.

const fs = require("fs");
const input = fs.readFileSync("/dev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.slice(1);
const commands = input.map(line => line.split(" ").map(Number));

const stack = [];
const output = [];

for (const [cmd, val] of commands) {
    if (val) {
        stack.push(val);
        continue;
    }

    switch (cmd) {
        case 2:
            output.push(stack.length ? stack.pop() : -1);
            break;
        case 3:
            output.push(stack.length);
            break;
        case 4:
            output.push(stack.length ? 0 : 1);
            break;
        case 5:
            output.push(stack.length ? stack[stack.length - 1] : -1);
            break;
    }
}

console.log(output.join("\n"));

결론

console.log를 반복문 안에서 여러 번 쓰면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.

result 배열에 출력할 값을 넣고, 마지막에 한 번 출력함으로써 시간 초과를 해결하였다.

 

 
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블로그 (JS)  (0) 2025.04.23
[백준] 꿀 아르바이트 (JS)  (0) 2025.04.22
[백준] 단어 정렬 (JS)  (0) 2025.04.05
[백준] 거스름돈 (JS)  (0) 2025.04.01
[백준] 세탁소 사장 동혁 (JS)  (2) 2025.03.26